물.불. 흙.바람 +나

[시 읽는 수요일 2025-15주] 심도기행(고재순) 본문

시 읽는 수요일(시 큐레이터)

[시 읽는 수요일 2025-15주] 심도기행(고재순)

시간에 색을 입히다 2025. 4. 12. 23:49

 

연미정 높이 섰네 두 강물 사이에

삼남지방 조운길이 난간 앞에 통했었네

떠다니던 천 척의 배는 지금은 어디 있나

생각건대 우리나라 순후한 풍속이었는데.

-화남 고재순(1846~1916), 심도기행(1906)-

 

강화도에 다녀왔습니다.  강화도의 옛 이름이 심도였다고 하네요.  고려시대에 몽고군의 침략으로 왕이 강화도로 피난을 갔었지요. 조선시대에는 강화도령 철종이 살던 곳이지요.  순무김치와 밴댕이, 강화섬쌀, 속노랑고구마, 강아지떡(우리 강아지(자식) 먹이려고 만든 떡) 등등 유명한 게 많더군요. 

 

  120여개의 돈대(초소) 중에 월곶돈대라는 곳에 갔었습니다.  강 건너가 김포,  또 다른  바다 건너가 북한이더군요. 삼남(전라, 경상, 충청) 지방에서 올라오는 배들이 이 길을 통해서만 한강을 거슬러서 서울에 닿았다고 합니다.  연미정이라는 정자는 한강의 물줄기가 두 줄기로 갈라지는데 그 모양이 제비꼬리와 닮았다 하여 지형의 이름을 본따 지은 이름이었습니다. 연미정 옆에  큰 느티나무가 두 그루 있었다는데 한 그루가 태풍에 꺾여서 부러졌으나 부러진 한쪽에서 다시 잔 가지가 뻗어서 생명을 잇고 있었습니다. 

 

  1906년이면 외세의 침략으로 나라가 위태롭고 정치인들은 진보와 보수로 나뉘어 다투었으며 백성들은 앞날을 걱정하고 있던 때였지요. 생각해 보니 그 때나 지금이나 나라의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은 듯 많은 부분이 닮아있네요.  역사를 돌이켜 보면 나라는 정치인이 지키는 게 아니고 일반 백성들이 제 자리에서 묵묵히 자기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면서 지켜왔습니다.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고재순 님이 말한 대로 '순후한 우리나라'는 온순하고 정이 두터우며 날씨가 적당하게 따뜻하고 좋은 나라입니다. 그 땅에 사는 우리의 삶도 순후(淳厚)하면 좋겠습니다. 

 

  어떤 학자는 2030년 이전에 한국과 북한이 통일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제 생각에는 독일의 통일처럼 우리나라의 통일도 전혀 생각지 못했던 곳에서, 너무나 시시한 방식으로 통일이 될 것 같습니다.  북한과의 거리가 1.6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강화도에 가 보니 북한에서 피난 와서 주저앉은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소리치면 들릴 것 같이 가까운 북한 땅을 앞에 두고 평생을 살다 돌아가신 분들이 많겠지요.  어떤 때라도, 지금이라도 통일은 되어야지요. 언제나 희망은 희박했습니다. 그러나 희망을 사람을 살게 하는 힘입니다. 

 

부러진 나무에서 싹이 나고 유전자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