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유
- 나쓰메소세키
- 김훈
- 다시 일어서는 교실
- 헤어질 결심
- 쉼보르스카
- 가족
- 최진석
- 미국의 가정통신문
- 묨을 살리는 요리
- 사진집
- 독서1000권
- 간당간당
- 교육
- 프렌치수프
- 행복
- 시 ㅇ릭는 수요일
- 자연주의 소설'
- 리더
- 커털린 커리코
- 아소무아르
- 서평
- 돌파의 시간
- 희망
- 티스토리챌린지
-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 오블완
- 교육의 방향
- 용기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비서에게 배우는 말하기 본문
나는 비서 생활을 오래 했다. 청와대 8년, 기업에서 7년 합해서 15년이다.
권장할만한 일은 아니다. 늘 긴장해야 하고 나보다 모시는 분에 맞춰서 살아야 한다.
그러나 한가지 얻은 게 있다. 누군가의 마음에 들게 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 배웠다.
말을 비서처럼 하면 이미 절반은 성공한 셈이다.
비서는 입이 무겁다. 특히 자신이 모시는 분에 관한 이야기는 신중하게 한다.
험담하지 않는 건 당연하다. 사생활을 들추어 말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모시는 사람과 가깝다는 걸 과시하고 싶은 유혹에 빠지지 않아야 한다.
비서는 귀 막고 삼년, 눈 감고 삼년, 입 닫고 삼년을 보내야 한다는 말도 있다.
비서는 팔방미인이 되어야 한다. 전문 지식이 아니어도 두루두루 많이 알 필요는 있다. 모시는 분과 소소한 대화를 많이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아무 말이나 해서는 안 된다.
특히 이 세 가지 말은 하지 말아야 한다.
첫째, 사실이 아닌 말,
둘째, 근거 없는 말,
셋째, 무의미한 말이다.
끝으로 젊은 분들은 듣기 불편할 수 있지만 충성심이 있어야 한다. 그러면 모시는 분과 생각이 같아진다. 충성심을 갖고 일하면 일하는 자신도 행복하다. 단, 충성심이 지나쳐 영혼이 없어지는 건 조심해야겠지요? 그러면 윗분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때오는 직언과 쓴소리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모든 건 비서에게 필요한 덕목은 아닐 것이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을 누가 싫어하겠습니까?
누군가를 모시고 있다면 혹은 신뢰받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세 가지를 기억하세요.
입은 무겁게, 지식은 넓게, 가끔은 쓴소리도 과감하게
(2020년 kbs라디오 강원국의 말 같은 말에서 옮겨 적다)
'글쓰기, 말하기를 배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차이가 개성이다. (0) | 2022.05.04 |
---|---|
운을 부르는 말 습관 (0) | 2022.01.19 |
매너에서 시작되는 말의 향기, 사람의 향기 (0) | 2021.07.23 |
이런 말은 정말 듣기 싫어. (0) | 2021.07.23 |
논리의 시작도 끝도 사람이다 (0) | 2021.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