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교육의 방향
- 간당간당
- 돌파의 시간
- 다시 일어서는 교실
- 희망
- 커털린 커리코
- 용기
- 시 ㅇ릭는 수요일
- 묨을 살리는 요리
- 독서1000권
- 김훈
- 쉼보르스카
- 행복
- 티스토리챌린지
- 최진석
- 아소무아르
- 프렌치수프
-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 자연주의 소설'
- 가족
- 오블완
- 자유
- 리더
- 미국의 가정통신문
- 헤어질 결심
- 사진집
- 교육
- 나쓰메소세키
- 서평
Archives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인생의 계획 세우기: 인생 오계(五計) 본문
은퇴 후의 삶에 대한 연수중이다.
뭉뚱그려서 어떻게 할까? 라는 생각 보다는 이렇게 조목 조목 다져서 생각해 보는 게 좋겠다.
송나라의 주신중(朱新仲)이라는 사람은 인생 오계(五計)를 말했다고 한다.
이를 명나라의 유학자 서수비가 식소록(識小錄)에서 세시오계(歲時五計)로 언급했다고 한다.
첫번째는 생계(生計) 이다.
나는 무슨 일을 하여 먹고 살 것인가?
돈에 대한 계획과 준비를 말한다.
둘째는 신계(身計)이다.
나의 몸과 마음을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해 나갈 것인가 하는 계획이다.
셋째는 가계(家計)이다.
가정을 어떻게 꾸려 나갈 것인가?를 계획하는 것이다.
경제적인 내용도 있겠지만
가족관계, 부부관계, 부모와 자식관계, 형제관계, 친구관계를 잘 맺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는 노계(老計)이다.
어떻게 늙을 것인가? 하는 계획이다.
나이 들어서 무엇을 할 것인가?
경제 생활, 건강관리 등의 노후생활에 대한 계획을 말한다.
다섯째는 사계(死計)이다.
나의 죽음 이후에 대해 계획이다.
사람은 죽음으로 끝나지 않는다.
죽음 이후에 다음 세대를 위해 아름답게 마무리를 해야 한다는 말이다.
이는 시간 계획이라고도 해석되며, 시간을 보낼 것인가에 대한 계획이기도 하다.
후세에 어떻게 기억되고 싶은가? 에 대해서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다.
앞으로 살면서 곰곰히 생각해야 할 질문 한가지 늘었다.
그들에게 나는 누구였을까?
그에게 나는 누구일까?
'2020년 글쓰기-물.흙.불.바람 > 2021년 글쓰기-물.훍.불.바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듦에 대한 고찰 (0) | 2021.05.27 |
---|---|
인생에서 없애야 할 다섯 가지: 인생 오멸( 人生 五滅) (0) | 2021.05.26 |
인맥관리? 인생관리! (0) | 2021.05.24 |
영화<집으로 가는 길> (0) | 2021.05.23 |
목소리도 말이다 (0) | 2021.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