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은국
- 독서1000권
- 가족
- 행복
- 프렌치수프
- 커털린 커리코
- 자연주의 소설'
- 헤어질 결심
- 나쓰메소세키
- 김훈
- 교육감 직선제 대안
-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 오블완
- 리더
- 희망
- 티스토리챌린지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 용기
- 교육
- 교육의 방향
- 돌파의 시간
- 사진집
- 자유
- 묨을 살리는 요리
- 시 ㅇ릭는 수요일
- 쉼보르스카
- 미국의 가정통신문
- 아소무아르
- 서평
- 최진석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다시 아무르강에서 날아온 까마귀, 반갑다! 본문
블로그 글을 쓴지 2년째다. 작년에 까마귀떼가 러시아 아무르강에서 출발하여 1,300km를 날아온다는 내용을 쓴 글이 있다. 그래서 날이 추워지면서 다시 보이기 시작한 까마귀들이 반갑기도 하고, 멀리 날아왔을 사연에 대견하기도 하다.
https://blog.daum.net/lma0135/140
아무르강에서 1300km를 날아서 온 떼까마귀들
어제 출근길에 까마귀들이 진위역부터 보이기 시작하더니 오산 LG로 사거리에는 전깃줄마다 가득 모여있다. 아침에도 보니 여전히 그 자리에 수천마리의 까마귀들이 1번국도를 내려다보고 있다
blog.daum.net
작년 겨울에도 까마귀들이 유난히 많아서 블로그에 글을 썼었다.
'저 까마귀들이 어디서 온 것일까?',
'까마귀는 텃새라고 알고 있는데 까마귀도 철새인가?',
'그러면 우리나라의 까마귀가 아닌가?',
'전에 알고 있던 까마귀 보다는 작아보이는데 ?'.
'왜 역 주변이나 사람들이 사는 지역에 모여 있을까?'
이런 여러가지들이 궁금했었다. 그래서 찾아보니 저 까마귀들은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에서 살다가 추위를 피해 우리나라로 날아와 겨울을 보낸다고 한다. 그리고 들이 있는 곳이 추우니 저녁 무렵이 되면 마을 주변으로 몰려들어 전깃줄에 모여앉아 쉰다는 것이다.
이 사진은 진위역을 지나다가 1번 국도를 따라 나란히 앉은 까마귀들을 차 안에서 찍은 사진이라 흐릿하다. 차를 운전하고 지나가다 보니 아주 많이 앉아있는 까마귀들을 찍을 때를 놓친 탓에 가까스로 신호를 기다리다 한 컷을 찍을 수 있었다. 진풍경이다. 진위면 주변에 논이 많으니 알곡이 많이 떨어져 있어서 먹이가 풍부하여 머물기 적합하다고 누군가 대장 격인 까마귀가 결정을 내렸나 보다. 그 중에는 작년에 왔던 까마귀도 적잖이 섞여 있겠고, 그 중에는 올해 처음으로 온 신출내기 까마귀도 있을 것이다. 사연은 어쨌거나 다시 만나게 되어 반갑다, 아무르강의 까마귀들아.
'2020년 글쓰기-물.흙.불.바람 > 2021년 글쓰기-물.훍.불.바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8. 27. (0) | 2023.08.27 |
---|---|
20211209 (0) | 2021.12.09 |
20211208 (0) | 2021.12.08 |
옥수수를 볶으며 (0) | 2021.11.25 |
2021.11.23. (0) | 2021.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