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김훈
- 아내의 일기
- 자유
- 노년 대기만성
- 희망
- 폭주노년
- 오블완
- 묨을 살리는 요리
- 최진석
- 가족
- 나쓰메소세키
- 티스토리챌린지
- 교육감 직선제 대안
- 돌파의 시간
- 교육
- 용기
- 라틴어명언
- 쉼보르스카
- 하버드 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헤어질 결심
- 행복
- 사진집
- 나만 느낄 수 있는 응원
- 교육의 방향
-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 리더
- 커털린 커리코
- 놀 줄 아는 노인
- 서평
Archives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말중의 말 본문
사람이 할 수 있는 말이 제한이 된다면 어떤 말을 해야 할까?
몇 년 전에 시의원을 만난 적이 있다.
"제가 가진 재산도 없는데 시의원이 된 비결은 인사입니다. 저는 하루에 5,000번 이상 인사를 합니다. "
"학생들에게도 꼭 말해 주고 싶습니다. "
말을 줄이고, 줄인다면 어떤 말이 남게 될까?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위의 말이면 웬만한 인사는 다 되지 않을까 싶다.
또 어느 정도의 대화가 될 수도 있다. 굳이 말이 아니어도 손짓, 발짓으로 외국인들과도 대화를 나누지 않았던가?
그렇다면 이런 말들이 일상생활이 되어야 하지만 사실 우리가 쓰는 말을 돌이켜 보면 이런 인사가 별로 없다.
오래 전 이런 유머가 있었다.
이웃집에서 떡을 가지고 오신 아주머니께 어떤 인사를 해야 할까요? 라는 질문에
"뭐 이런 걸 다" 라고 썼다는 ......
우리가 얼마나 인사에 인색한 삶을 사는 지 말해주는 단적인 예가 아닌가 싶다.
꼭 시의원, 도의원, 국회의원이 되려 해서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인간과 인간으로서 서로 인사를 나누는 세상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글을 쓴다.
고향 마을에 무인카페가 생겼다. 로봇이 음료를 만들어 제공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사람의 미소와 따뜻한 말 한마디와 인사가 있는 풍경 안으로 들어가고 싶은 마음에 글을 쓴다.
'2020년 글쓰기-물.흙.불.바람 > 2021년 글쓰기-물.훍.불.바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소화 (0) | 2021.07.08 |
---|---|
영어 별칭은 수평적인 문화인가? (0) | 2021.06.30 |
꽃나눔 (0) | 2021.06.23 |
5.18 민주화운동을 되새기다. (0) | 2021.06.21 |
책을 읽으면 오래 산다고? (0) | 2021.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