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서평
- 용기
- 리사 아이사토
- 최진석
- 놀 줄 아는 노인
- 리더
- 헤어질 결심
- 행복
- 나만 느낄 수 있는 응원
- 교육의 방향
- 사진집
- 교육감 직선제 대안
- 삶의 모든 색
- 나쓰메소세키
- 희망
- 오블완
- 자유
- 쉼보르스카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 노년 대기만성
- 가족
- 폭주노년
- 티스토리챌린지
- 먼지차별
- 라틴어명언
- 아내의 일기
- 돌파의 시간
- 교육
- 하버드 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김훈
Archives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2023. 4. 13. 본문
핀란드는 독립 100주년 기념으로 노아의 방주를 형상화한 도서관을 국민들에게 선물했다고 한다. 찾아보니 이름이 OODI(열정적인 찬가, 송가의 의미) 도서관이란다. 그런데 그 안에서 국민들은 자유롭게 먹고, 마시고 즐길 수 있으며 조용히 책을 보는 공간도 있다. 서가 옆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며 10만 권의 책을 보유하고 있다. 국민의 권리가 살아 있는 공간인 셈이다.
반면 국립중앙도서관(한국, 서울 서초구)에는 들어갈 때 개인 가방은 가지고 들어갈 수 없고,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투명가방에 넣어서 들고 들어가야 한단다. 카메라 촬영도 금지된다. 도서의 도난을 막기 위함이고, 정보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함이겠지만 도서관이 그렇게 출입이 제한이 되어서야 책을 가까이할 수 있을까 싶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국민의 권리를 누리고 있음을 실감할 터인데 그러지 못하니 실상 이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겠다.
2023. 4. 12. 제 1회 도서관의 날이었다. 도서관의 소중함을 알자는 의미로 마련된 날이라고 짐작되는데 누구도 모르게 지나갔다. 책을 읽지 않는 국민이 몇 퍼센트라는 통계 결과는 매년 발표되지만 그런다고 책을 읽는 국민이 늘어날 리도 만무하다. 아직도 책은 국민들에게 가까이 있지 않고 찾아가야 볼 수 있고, 어렵게 자기 가방은 맡기고 투명 가방에 내 물건을 넣고서야 출입이 가능한 곳이다. 무엇을 위해서 우리는 아직도 이런 대접을 받으면서 도서관에 들어가야 하는 것일까? 도서를 잃어버리면 다시 구입하면 될 터인데...... 한 번도 읽지 않고 버려지는 책이 도서관마다 매년 쏟아져 나올 것이다. 학교 도서관에도 단 한 명도 읽지 않은 책이 매년 폐기되고 다시 구입하고 있다.
다행히 도서관 옆에 공원이 있고, 카페가 있고, 그네가 있는 풍경이 생기고 있어 다행이다. 책을 소재로 한 다양한 전시들도 계속되고 있다. 책 읽는 도시를 만들어가자는 취지로 올해의 책을 선정하고 선정된 책을 시민들이 함께 읽고 작가와의 만남도 갖는 등 프로그램도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