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폭주노년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 노년 대기만성
- 이토록 평범한 미래
- 하버드 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김훈
- 헤어질 결심
- 삶의 모든 색
- 나쓰메소세키
- 가족
- 쉼보르스카
- 놀 줄 아는 노인
- 리더
- 행복
- 라틴어명언
- 티스토리챌린지
- 리사 아이사토
- 자유
- 먼지차별
- 나만 느낄 수 있는 응원
- 교육감 직선제 대안
- 오블완
- 아내의 일기
- 서평
- 교육
- 최진석
- 용기
- 희망
- 교육의 방향
- 사진집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엿도 말도 엿장수 마음 본문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는 말이 있다. 이 속담이 주는 교훈은 두 가지인 것 같다.
말을 길게 하는 것을 삼가고 많이 하는 것을 경계하라는 뜻이 하나 있다. 말이 길어지면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말다툼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말을 아끼라는 거다.
다른 의미 하나는 말은 이 사람 저 사람 옮겨갈수록 보태지고 왜곡되어 본뜻에서 멀어질 수 있으니 말을 전하는 데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언젠가 방송에 나가서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얼굴이 강석우씨 닮았다는 말을 했다. 연애할 때 아내가 그렇게 말했다. 그런데 비난과 야유가 쏟아졌다. 알랑드롱, 비래드피트, 주윤발까지 잘 생겼다는 사람은 모두 소환되었다. 그 외에도 작은 표현 하나 때문에 정지척으로 공격을 받기도 했다. 그래서 방송이나 강의에 나갈 때면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이다.
그래서 조심하고 또 조심하지만 이 또한 내 의지와 노력만으로 되는 일은 아닌 것 같다.
흔히 하는 말로 생각은 자유다. 하지만 생각이 말로 나오는 순간 그것은 나의 것이 아니다. 그야말로 엿장수 마음이다.
엿장수는 마음에 들면 더 줄 수도 있고 야박하게 가위질을 할 수도 있다. 말은 하는 사람의 의도보다는 듣는 사람의 해석에 달렸다.
엿판에서 발견하는 말의 지혜, 늘어져서 좋을 건 엿가락 뿐, 판을 쥐고 있는 건 내가 아닌 엿장수다.
(2020년 kbs라디오 강원국의 말 같은 말에서 옮겨 적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