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 나쓰메소세키
-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 돌파의 시간
- 하버드 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아내의 일기
- 커털린 커리코
- 가족
- 나만 느낄 수 있는 응원
- 교육감 직선제 대안
- 노년 대기만성
- 자유
- 희망
- 헤어질 결심
- 교육
- 오블완
- 놀 줄 아는 노인
- 먼지차별
- 김훈
- 사진집
- 교육의 방향
- 라틴어명언
- 용기
- 티스토리챌린지
- 리더
- 최진석
- 서평
- 행복
- 폭주노년
- 쉼보르스카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이것만 알아도 대책이 있다. 본문
직장에서 직장내 괴롭힘 방지에 대해 교육한다. 그러나 살아온 세월이 있는 사람들은 늘 살던 대로 살으려는 경향이 있다. 물리시간에 배운 가속성의 원리다. 달리던 사람은 계속 달리려고 한다. 그러나 요즘이 어떤 세상인가? 어른들이 90년대생에게 내가 살던 80년대 처럼 행동하면 어떻게 되는가? 달라져야 한다. 나도 그 대상이 되어야 한다. 교육으로 안되면 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법이 필요없으면 더 좋다.
국가법령센터(https://www.law.go.kr/)
근로기준법 제6장의2 직장 내 괴롭힘의 금지 <신설 2019. 1. 15.>
제76조의2(직장 내 괴롭힘의 금지) 사용자 또는 근로자는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이하 "직장 내 괴롭힘"이라 한다)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조신설 2019. 1. 15.]
제76조의3(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조치)
① 누구든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게 된 경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
② 사용자는 제1항에 따른 신고를 접수하거나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인지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그 사실 확인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③ 사용자는 제2항에 따른 조사 기간 동안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하여 피해를 입은 근로자 또는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근로자(이하 "피해근로자등"이라 한다)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해당 피해근로자등에 대하여 근무장소의 변경, 유급휴가 명령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피해근로자등의 의사에 반하는 조치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④ 사용자는 제2항에 따른 조사 결과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이 확인된 때에는 피해근로자가 요청하면 근무장소의 변경, 배치전환, 유급휴가 명령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⑤ 사용자는 제2항에 따른 조사 결과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이 확인된 때에는 지체 없이 행위자에 대하여 징계, 근무장소의 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징계 등의 조치를 하기 전에 그 조치에 대하여 피해근로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⑥ 사용자는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신고한 근로자 및 피해근로자등에게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조신설 2019.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