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가족
- 리사 아이사토
- 리더
- 삶의 모든 색
- 하버드 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쉼보르스카
- 사진집
- 서평
- 오블완
- 교육의 방향
- 나쓰메소세키
- 노년 대기만성
- 아내의 일기
- 라틴어명언
- 희망
- 자유
- 교육감 직선제 대안
- 최진석
- 교육
- 용기
- 나만 느낄 수 있는 응원
- 폭주노년
- 먼지차별
- 김훈
- 돌파의 시간
- 헤어질 결심
- 행복
- 티스토리챌린지
- 놀 줄 아는 노인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Archives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2024. 1. 12. 본문
방학 동안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이 가장 불편한 점을 꼽으라면 아마도 점심 급식을 하지 않는 점을 꼽지 않을까 한다. 점심 급식시간은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 비타민, 지방 등의 균형 잡힌 영양소를 고려한 식단으로 구성되며 약 600kcal의 열량을 제공하는 식사로 마련한다. 한창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해 인스턴트 음식이 아닌 집밥과 같이 따뜻한 한 끼의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지방 재정에서 지원금을 마련하여 본인 부담금이 없이 제공된다. 한때 돈 많은 재벌가의 자녀가 왜 무상급식을 먹어야 하는지 반대하는 말도 있었지만 지금 한국은 유, 초, 중, 고등학교까지 무상 급식이 실시되고 있다.
학교 급식에 대해 거론하고 보니 두 가지 생각이 떠오른다.
하나는 급식판에 대한 생각이다. 학교나 군대의 급식판을 보면 밥, 국, 반찬 세 개의 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어떤 날 국이 없거나 반찬의 갯수가 세 개가 아니라 네 개일 때, 또는 두 개일 때는 민원이 발생한다. 왜 세 칸인데 한 칸이 비어 있는가? 왜 세 칸인데 반찬이 네개인가? 등등 이다. 거기에 더해 식판에 밥을 먹고 나면 한 곳에 모아서 잔반통에 버리게 되는데 한 군데 모으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 식판이 스테인레스이다 보니 밥알이 눌어붙어서 잘 떼어지지 않는다. 뜨거운 음식을 담으면 열 전도율이 높아서 금방 뜨거워지니 화상 위험이 있다. 그리고 설거지를 할 때도 굴곡이 있는 부분이 많아서 꼼꼼하게 닦아야 하는 수고로움이 크다. 그런 이유로 나는 큰 플라스틱 접시에 담아 먹는 뷔페접시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러면 국그릇과 접시 한 개를 이용하니 갯 수는 두 개이지만 설거지를 할 때도 간편하게 정리되고, 반찬을 담을 때도 가짓수에 대한 고민을 줄일 수 있다. 이미 어른들은 사회에서 접시를 이용하는 게 대세인데 아이들과 학생들은 스테인레스의 식판에 먹도록 하는 게 위생에 효율적이라서 선택한 것일 수 있으나 일률적인 식사를 제공하려는 의지를 반영하는 게 아니라면 접시 사용을 권장하고 싶다. 가장 큰 이유는 급식 종사자들의 노고를 줄여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급식 종사자들은 대다수가 50대 이상의 여성이다. 무겁고 거센 금속 소재의 식판과 가마솥보다 큰 조리 도구들을 다루는 일은 위험한 일이라서 이제 급식 종사자들은 점점 줄어들고 채용도 안 되는 형국이니 급식실의 조리 방법과 식판 등의 도구들에 대한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