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쓰기
[서평]내 마음이 지옥일 때
시간에 색을 입히다
2022. 12. 2. 23:24

시로부터 오는 치유의 언어
"자기 속도로 가는 모든 것들은 옳다"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기분인가요? 지금 내가 서 있는 자리가 편안하고, 위로받는 기분이 들지 않나요? 저도 그랬습니다. 이 책을 토요일 아침 내내 붙들고 읽으면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시가 위로가 되고, 치유가 된다는 걸 아주 오랜만에 발견하고 가을 저무는 햇살에 비추어 책을 읽었습니다.
저자 이명수는 자신을 심리기획자로 소개한다. 그가 해 온 일은 세상과 사람에 드리운 균형 잡힌 시선으로 마음의 성장과 치유를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들이다. '무한 공감과 지지 그리고 연결만이 진정한 치유라는 믿음으로 영혼의 동반자인 부인 신경정신과 의사 정혜신과 함께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와 그 가족들을 위한 심리치유공간 '와락'을 기획했다. 국가 폭력 피해자들의 심리치유 작업을 기획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으로 이주해 '치유공간 이웃'에서 세월호 유가족과 희생 학생 친구 등의 치유 과정에 함께 했다.
저자는 이 책을 쓴 목적을 이렇게 말한다. '자꾸 무릎꿇게 하는 세상에서 상처받은 이들이 다시 스스로 걸어갈 수 있도록 뒤에서 버팀목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보니 다들 개인의 일상에서도 대부분 괴로운 마음속 지옥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동안의 다양한 현장 경험과 치유적 통찰을 통해 마음의 지옥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이드를 이 책의 영감자(靈感者)인 치유자 정혜신과 깊이 소통하며 담아내고자 했다.
왜 시가 체유제일까? 누군가는 인류를 구원할 세 가지를 도서관, 자전거, 시(詩)를 꼽았다. 우리 삶은 무엇을 향하고 있을까? 오너의 갑질 앞에 무릎 꿇는 사람, 국가 권력 앞에 희생당한 사람들, 가정폭력으로 무감각해진 아이......'감정마비가 일상화되면 희로애락의 타이밍을 알지 못한다. 울어야 맞는 상황인 건지. 퍼하는 정도가 이 정도면 적절한 건지, 웃어야 할지 말지 감이 떨어진다. 어떤 게 지금 상황에서 적절한 감정인지를 매 순간 머리로 계산하고 판단해야 하니 초긴장 상태로 산다. 내가 누구인지 모르겠는 혼란이 올 수밖에 없다.(132p)' 그러면서도 우리는 매일 죽을 둥 살 둥 달려가는 곳이 '회사'다. (135p) 계절 바뀌는 걸 출퇴근하는 차창 밖으로 보면서 지낸다. 그러다 늙는다.
<회사 >(송종찬) 꽃 피고/ 꽃 지는 것 모르고/ 비 뿌리고/장마 지는 것도 모르고/ 투명한 어항 속에 비치는/ 캄캄한 심해/ 술 취한 고래처럼/ 이따금 푸우 푸-우/하늘을 솟구쳐 올랐다가/ 바람 불고/낙엽 지는 것 모르고/ 눈꽃 피고/ 얼음 풀리는 소리 듣지 못하고/ 어디쯤 지나고 있을까/밤 기차는-시 전문-
그런 사람들이 모인 세상은 당연히 살기 힘들고, 어렵다. 관계도 불편할 수 밖에 없다. <모든 길>(권혁소) (중략) 바다, 그 또한 끝없는/오르내림의 반복/그러면서 배운다/봄이 오기까지는/ 모든 관계가 불편하다는 것-시 일부- 해빙기가 금방 오지 않아도 잘 견딜 수 있는 건 봄이 오기까지 모든 관계가 불편하다는 걸 깨닫고 말하는 시인의 고백이 있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