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김훈
- 묨을 살리는 요리
- 헤어질 결심
- 최진석
- 아내의 일기
- 노년 대기만성
- 코로나19 백신이 만들어진 과정
- 희망
- 사진집
- 오블완
- 용기
- 행복
- 가족
- 하버드 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서평
- 교육감 직선제 대안
-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 폭주노년
- 커털린 커리코
- 돌파의 시간
- 교육의 방향
- 쉼보르스카
- 나만 느낄 수 있는 응원
- 리더
- 교육
- 나쓰메소세키
- 라틴어명언
- 놀 줄 아는 노인
- 자유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물.불. 흙.바람 +나
팔할이 바람 본문
현재의 나를 있게 한 것은 무엇인가?
오늘 아침 문득 생각난 물음이다.
답을 찾다가 떠오른 시
서정주시인의 <자화상>이라는 시다.
자화상
서정주(1937. 가을)
애비는 종이었다. 밤이 깊도 오지 않았다.
파뿌리같이 늙은 할머니와 대추꽃이 한 주 서 있을 뿐이었다.
어매는 달을 두고 풋살구가 꼭 하나만 먹고 싶다 하였으나......흙으로 바람벽한 호롱불 밑에
손톱이 까만 에미의 아들.
갑오년(甲午年)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돌아오지 않는다 하는 할아버지의 숱 많은 머리털과
그 커다란 눈이 나는 닮았다 한다.
스물 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팔할(八割)이 바람이다.
세상이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더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罪人)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 입에서 천치(天痴)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진 않으련다.
찬란히 틔어오는 어는 아침에도
이마 위에 얹힌 시(詩)의 이슬에도
몇 방물의 피라 언제나 섞여 있어
볕이거나 그늘이거나 혓바닥 늘어뜨린
병든 수캐마냥 헐떡거리며 나는 왔다.
<화사집, 남만서고, 1941>
내가 찾고자 했던 단어는 <팔할이 바람>이었다.
바람은 자연의 섭리를 대표한다. 환경을 말하기도 한다.
나는 내가 의도하여 여기까지 온 것이 아니고
내 주변의 환경이 나를 여기까지 이끌어 온 것이다.
내가 만난 환경이 나를 현재, 오늘의 나로 만들어 놓았으나 나는 그것이 온전이 나의 노력이라고 생각해서
때로는 실망하고, 때로 자만했고, 때로는 안타까워 했다.
그러나 바람이 나를 만들었으니 나는 그저 그 바람을 맞으며 살아낼 뿐이었다.
어떤 선택도 나의 의지가 아니라 자연의 섭리에 의해, 바람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 것이었다.
그러니
바람처럼 가벼운 마음으로 억새에 이는 바람처럼 그렇게 살 일이다.
'2020년 글쓰기-물.흙.불.바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0) | 2020.10.26 |
---|---|
오래 남는 사진 (0) | 2020.10.21 |
10월 16일 금요일 (0) | 2020.10.16 |
10월 15일 목요일 (0) | 2020.10.15 |
함께 하다 (0) | 2020.10.14 |